Cargo는 코딩 없이도 웹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는 웹 빌더다.
비개발자도 다양한 디자인과 효과를 쉽게 적용할 수 있어 해외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 AWS Route 53 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이 글은 Cargo와 AWS Route 53을 사용해 나만의 도메인으로 웹사이트를 연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1. Cargo에서 도메인 연결 설정
- 아래 경로로 이동한다:
https://[본인 ProjectName].cargo.site/admin/settings - 상단의 Connect an existing Domain Name 입력란에 보유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 입력 후 상태가 Pending으로 바뀌고, 다음과 같은 경고 문구가 뜬다:
If you have a domain linked to a Cargo 1 site, some additional DNS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connect it to a Cargo 2 site.
→ 기존에 Cargo 1을 쓰다가 Cargo 2로 업그레이드된 경우, 추가 DNS 설정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또한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게 되면
“This domain needs to be configured for use on Cargo. Connect it by adding it to your Settings.”:
→ 이는 아직 도메인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2. AWS Route 53에서 네임서버 변경
- AWS 콘솔 접속 → Route 53 → 등록한 도메인 클릭
- 작업 > 이름 서버 편집 메뉴 선택
- 기존 NS(Name Server) 항목을 아래처럼 변경한다:
ns1.cargo.site
ns2.cargo.site
위 항목을 기입한 후 변경 사항 저장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됐다는 알림이 뜬다.
2-1. 서브도메인으로 연결하는 경우 (예: support.domain.com)
- 이 경우에는 CNAME 레코드 추가 방식으로 연결해야 한다.
- 예: support.domain.com을 연결할 경우
https = 프로토콜
support = 서브도메인
domain = domain
com = 확장자
를 뜻하게 된다.
자신 도메인의 CNAME 레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 바로 나의 subdomain이 Cargo URL을 보도록 하는 작업이다.
subdomain.cargo.site
3. 네임서버 전파 확인
- 아래 DNS 체크 사이트 접속
👉 https://www.whatsmydns.net/ - 검색 조건을 NS로 선택
- 검색창에 본인의 도메인을 입력하여 네임서버 전파 상태 확인
⚠️ 보통 바로 적용되지 않고,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다.
DNS Propagation Checker - Global DNS Checker Tool
Instant DNS Propagation Check. Global DNS Propagation Checker - Check DNS records around the world.
www.whatsmydns.net
해당 url로 접속하여 검색조건을 NS로 바꾼 후, 검색어를 자신이 생성한 도메인을 기입한다.
4. 연결 완료 확인
- Cargo 측에서 연결 완료 이메일을 받게 된다.
- 이후, 본인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Cargo에서 만든 웹사이트가 정상 표시된다.
Cargo는 설정 방법만 잘 알면 정말 직관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밀 수 있는 서비스다. AWS Route 53과의 연동도 위 과정을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가능하다. 도메인을 직접 연결하고 나만의 주소로 사이트를 운영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시도해보자.
----
참조 글
How to fix "This domain needs to be configured for use on Cargo" in Cargo Site - Cargo Site Tutorials
In this blog we will learn how to fix "This domain needs to be configured for use on Cargo. Connect it by adding it to your Settings." in Cargo Site
cargotutorials.com
https://cargo2support.cargo.site/Using-a-Third-Party-Domain
Using a Third-Party Domain — Cargo Support
Using a Third-Party Domain If you have a domain registered through a third-party domain host — like hover.com or iwantmyname.com — you can link it to your...
cargo2support.cargo.site
https://cargo2support.cargo.site/Moving-a-Cargo-1-Domain-to-Cargo-2
Moving a Cargo 1 Domain to Cargo 2 — Cargo Support
Moving a Cargo 1 Domain to Cargo 2 If you have a domain linked to a Cargo 1 site, some additional DNS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connect it to a Cargo 2...
cargo2support.cargo.site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Zuul API Gateway에서 504 Gateway Timeout 에러 문제 쉽게 해결하기 (0) | 2023.01.29 |
---|---|
젠킨스를 활용한 리액트 CI/CD 자동 배포 구축기 (0) | 2021.07.18 |
Nginx를 활용해 리액트 프로젝트 배포하기 (멀티 포트 설정) (0) | 2021.01.17 |
Jenkins를 이용한 서버 배포 (0) | 2021.01.17 |
PSCP 이용하여 AWS/EC2 파일 전송 및 폴더 전송하기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