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ing Started Guide
Developer Portal for EOSIO. EOSIO is a next-generation, open-source blockchain protocol with industry-leading transaction speed and flexible utility.
developers.eos.io
이 가이드의 목적은 본인의 로컬에 EOSIO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사용해 헬로월드 단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빌드하고 배포해보는 것입니다.
EOSIO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주요 내용
- 로컬에 개발환경 구성하기
- 헬로월드 단계의 기초 스마트 컨트랙트 빌드와 배포해보기
워크플로우를 시작하기 전에 EOSIO 플랫폼, 툴체인, Core 컨셉과 여러 기술적 기능들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1. 로컬 개발환경 구성하기
개발자로서 로컬 개발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다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EOSIO 바이너리를 위한 운영체제 설치
- 테스트용 블록체인 계정 생성
- 로컬 개발환경 설치 완료
설정이 완료되면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워크플로우를 진행하고, 헬로월드 수준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빌드할 수 있습니다.
2. 헬로월드 스마트 컨트랙트 빌드 및 배포
로컬 개발환경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EOSIO 블록체인 플랫폼에 첫 헬로월드 스마트 컨트랙트를 빌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선택 사항: 미리 설정된 웹 환경 사용하기
- EOSIO Quickstart Web IDE : 웹 기반 개발 환경
- EOSIO Testnet : EOSIO 앱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테스트할 수 있는 공식 테스트넷
상급 기술 학습
이 문서는 EOSIO 플랫폼의 심화 기술과 이해도를 높이도록 도와줍니다. 개발 환경에서 고급 설정 옵션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연습과 자격증
EOSIO 재단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앱 개발, 안전한 통합을 위한 포괄적인 실습 코스를 제공합니다. EOSIO 커뮤니티를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가이드
이 섹션에서는 EOSIO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핵심 컴포넌트와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 EOSIO Core : 시스템 레이어용 기본 빌딩 블록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오픈소스로 제공되어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Protocol Guides 문서를 참고하세요.
설정 가이드
Nodeos 설정법을 안내합니다. Nodeos는 요구에 맞춰 플러그인을 설정해 다양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와 블록체인 설정
EOSIO는 유연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다양한 속성을 갖고 있으며, 합의, 거버넌스, 리소스 모델 등도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eosio.contracts
와 bios boot sequence tutorial
을 참고하세요.
개발과 테스팅
Nodeos 설정 방법은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 로컬 싱글 노드 테스트넷 : 가장 간단한 블록체인 실행 방법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시작에 적합합니다.
- 로컬 멀티 노드 테스트넷 : 여러 노드로 구성해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가 가능하며, 벤치마킹과 최적화에 좋습니다.
블록 프로듀서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개인 또는 조직입니다.
- Producing Node : 블록을 생성하며, 네트워크에 블록을 추가합니다. 메인넷에서는 활성화된 스케줄 안에서만 블록 생성이 가능합니다.
- Non-Producing Node : 블록 생성은 하지 않지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태 모니터링, API 프록시 역할 등을 수행합니다.
플러그인 가이드
- nodeos : EOSIO 노드 백그라운드 서비스
- cleos : CLI로 블록체인과 지갑을 관리하는 도구
- keosd : 키 매니저 서비스, 개인키 관리
- eosio.cdt : 스마트 컨트랙트 빌드용 툴킷
- eosio.contracts : EOSIO 기본 스마트 컨트랙트 모음
'블록체인 > E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OSIO ] 계정과 스마트컨트랙트 (0) | 2023.01.28 |
---|---|
[EOSIO] 용어 정리 (0) | 2023.01.03 |
EOSIO란 무엇인가? (0) | 2023.01.02 |